fstab 설정
부팅시 자동 마운트 시키기 위한 설정으로
아래 명령어로 편집가능(배포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)
```
# vi /etc/fstab
```
예제 1 (각 항목은 빈 칸으로 구분)
```
/dev/sda1 /mnt/disk1 ext4 defaults,nls=utf8,umask=007,uid=1000,gid=1000 0 0
```
예제 2
```
/dev/sda2 /mnt/disk2 ext4 defaults 0 0
```
-
파일시스템 장치(마운트 원래 위치)
/dev/sda1 등
-
마운트 포인트(장치를 마운트 시킬 위치)
/path/of/mnt/point/
-
파일 시스템 종류
ext, ext2, ext3, ext4, iso9660, nfs, swap, ufs, vfat, msdos, hpfs, ntfs 등
-
선택
defaults : rw, suid, dev, exec, auto, nouser, async 옵션을 모두 선택한 것과 같다.
auto :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된다.
exec : 실행파일이 실행되는 것을 허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다.
suid : SetUID와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다.
ro : 읽기 전용 파일시스템이다.(Read Only)
rw : 읽고 쓰기(Read Write) 파일시스템으로 사용된다.
user : 일반 계정사용자들도 마운트를 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이다.
nouser : root만 마운트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이다.
noauto :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 되지 않게하는 파일시스템이다
noexec : 실행파일을 실행되지 못하게 하는 파일시스템이다.
nosuid : SetUID와 SetGID의 사용을 허용하지 않은 파일시스템이다.
usrquota : 개별 계정사용자의 Quota설정이 가능한 파일시스템이다.(쿼터:사용자별로 디스크 할당을 조정(제한))
grp : 그룹별 Quota설정이 가능한 파일 시스템 -
덤프
0 : 덤프 불가능하게 설정
1 : 덤프 가능하게 설정 -
파일체크옵션
0 : 부팅시에 파일시스템을 점검하지 않음
1 : 부팅시에 파일시스템 점검을 한다
2 : 1로 설정한 곳 점검 후 점검 한다